일본뇌염매개모기 증상 및 주의점

반응형

질병관리본부에서 부산지역에 4월 1일 일본뇌염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빨간집모기를 발견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습니다.


이제 완전히 봄날씨로 접어들어 낮기온 20도가 넘어가면서 모기가 다시 기승을 부릴 것 같은데요.

작은빨간집모기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이며 뚜렷한 무늬가 없고 피를 흡혈하는 주둥이 중앙에 백색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물론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건 아니지만 주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걸리더라도 1%정도의 사람만이 뇌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합니다.

매우 낮은 수치이지만 뇌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라서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후유증을 가질 가능성이 있어

위험한 질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증상은 잠복기 1~2주일을 거쳐서

발현시기에 고열, 두통, 복통, 구토 등을 동반하기도 하며 경련,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일본뇌염 예방방법은,

매개체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모기기피제를 뿌리거나 긴팔입기, 

모기가 많은 저수지나 들판, 산속 같은 곳에서의 야외활동을 줄이기와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주로 아동이나 40대이상의 중장년층이 잘 걸리는 편이라 면역력과 관련이 있어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 식습관 등으로 몸의 면역력을 높여 놓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다행히 예방백신이 1950년대부터 개발되어 왔어서 아이들 같은 경우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년에는 대폭감소한 9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지만 매년 수십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만큼

모기로 인한 일본뇌염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에 좋은 음식(동의보감)/간에 좋은 생활 습관  (1) 2016.08.21